사칭·피싱 링크 구별법 2025: 공식 경로를 빠르게 확인하는 12가지 체크
주소가 자주 바뀌면 가장 먼저 늘어나는 것이 사칭·피싱 링크입니다. 이 글은 사용자가 스스로 공식 경로를 확인하고, 위험 신호를 초기에 걸러내도록 돕는 12가지 체크를 담았습니다.
빠른 12체크
- HTTPS/자물쇠: 인증서 만료·도메인 불일치 경고는 즉시 이탈.
- 도메인 철자: 0↔o, l↔I 같은 치환(타이포스쿼팅) 주의.
- 과한 알림: OS 보안 경고를 흉내 내는 팝업/다운로드 유도 차단.
- 도메인 이력: 생성 7일 이내 신규 도메인은 ‘임시’ 취급.
- 리다이렉트 루프: 3회 이상 연속 이동은 고위험.
- 광고 배치: 클릭 범위를 가리는 오버레이·가짜 버튼 확인.
- 로그인/결제: 불필요한 계정/카드 요구 시 중단.
- 푸시알림 허용: ‘허용’ 유도 창은 거절이 기본.
- 다운로드: 플레이어·코덱 설치 요구는 고전형 악성 패턴.
- 도메인 변형: 지역/숫자 꼬리표만 바뀐 미러는 교차검증 후 이용.
- 공식 공지 교차: 링크 허브와 공식 SNS/공지의 일치 여부 확인.
- 사용자 제보: 신고 많은 경로는 보류 후 대체 경로 탐색.
공식 경로 확인 루틴(3분)
- 주소아트 /links에서 해당 브랜드 카드를 열고 업데이트일 확인
- 브랜드명 + “공지”, “공지사항”, “update”로 검색 연산자 사용(예:
site:twitter.com 브랜드명 공지) - 대체 2경로 교차 테스트 → 동일 도메인 루트/인증서/푸터 정보 일치 확인
브라우저 안전 세팅
- 팝업 차단 + 알림 차단(기본 거부)
- 비밀번호 관리자/자동완성 OFF(의심 사이트 영역)
- 확장 프로그램 최소화, 주기적 캐시·쿠키 삭제
문제 발생 시
- 즉시 이탈 → 브라우저 재시작 → 비밀번호 변경
- 피싱 의심 URL은 포털/브라우저 신고 채널에 접수
